Content related to 구약성경

Home » 구약성경

시편 49:1-12

때때로 우리는 시편이라 부르는 시들과 잠언서 같은 지혜문학을 구분 짓는 선이 매우 미세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시편 49편은 그 경계가 현저히 흐려지는 전형적인 예입니다. 사실, 시편 49편은 여러 잠언 구절들과 충분히 유사해서 그 자체로 하나의 지혜문학으로 분류해도 무리가 없습니다. 더 나아가, 시편 49편은 잠언의 대표적인 주제 중 하나를 다루고 있습니다. 즉, 재물의 속임수와 공허함, 그리고 재물을…

Read More

호세아 1:2-10

저희는 신학교 학생들에게 특정한 경험 법칙을 가르칩니다. 우리는 사역의 동료로서 그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마음속 깊이 이 진리를 직관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 설교자들은 배우자와 자녀를 설교의 예화로 삼거나, 좋든 나쁘든 행동의 본보기로 삼거나, 그저 일반적으로 설교와 가르침과 사역의 출발점으로 삼는 것이 아무리 해도 위험하다는 것을 압니다. 호세아에게 말해 보세요! 고대 이스라엘의 선지자들은 호기심 많은…

Read More

시편 25:1-10

앨런 블룸은 몇 년전에 쓴 그의 책인 The Closing of the American Mind에서 미국 대학들에서 진정한 교육이 쇠퇴하고 있는 것을 안타까워했습니다. 블룸은 최신 유행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환영하면서 전통적인 문학 노선과 단절하는 많은 교수들의 방식을 성토했습니다. 그는 비판적 사고와 명철한 분별력이 포스트모던 순수성의 상징인 ‘열림’에 의해 대체된 현실에 대해 탄식했습니다. 블룸은 슬프게도 교육받은 사람의 기준이 날카롭게…

Read More

시편 66:1-9

조금 건방진 태도. 적당한 뻔뻔함. 약간은 앞서 나간 느낌.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온 세상이 찬양하라고 명령하는 시편 기자들의 태도는 어찌 보면 대단히 당당하고 대담합니다.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시편 속의 수많은 “여호와를 찬양하라”는 구절들은 모두 명령형이라는 사실입니다. 즉, 이것들은 직접적인 명령이자 지시입니다. 그리고 이 고대 시인들은 이 명령을 받는 사람들이 이집트인인지, 바벨론인인지, 페니키아인인지, 혹은 히타잇 사람인지…

Read More

열왕기하 2:1-2, 6-14

이 이야기는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이지만 피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또한 구식 서스펜스와 약간의 호기심, 약간의 유머가 있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작가는 1절의 시작부터 엘리야가 회오리바람을 타고 떠난다는 사실을 독자들에게 알려줍니다.  작가는 이 놀라운 세부 사항을 넣는 방식을 통해 위대한 선지자 엘리야가 어떻게 이 땅을 떠났는지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이 글을 썼다는 것을 알…

Read More

시편 30

작년에 부활절에 세상을 떠난 제 친구는 인생의 힘든 상황에 대해 “아, 기쁨은 아침에 온다”라는 말로 대응하곤 했습니다. 또는 적어도 기쁨은 아침에 올 수 있지만 우리 대부분은 때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또는 문제의 ‘아침’이 꽤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울부짖던 밤 이후에 기쁨이 온다는 생각은 시편 30편의 낙관적인 분위기를 요약합니다….

Read More

이사야 50:4-9a

몇 년 전 제 아들이 8학년이었을 때, 그의 기독교 학교 담임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멜 깁슨의 영화 ‘그리스도의 수난’의 채찍질 장면을 보도록 준비시키고 있었습니다. 그들이 실제 비디오 클립을 보기도 전에 (결국 그 클립을 보지 않았습니다) 예수의 고통에 대한 그 선생님의 다소 생생하고 유혈이 낭자한 묘사는 학급의 한 아이를 기절하게 만들기에 충분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그 영화를 보셨다면,…

Read More

시편 126

사순절을 위한 이 시편은 꽤 밝고 경쾌합니다. 사순절이 끝나가면서, 우리는 이 시에서 이번 시즌에 우리가 여행하는 십자가 너머의 회복에 대한 약속을 보게 될 것입니다. 결국, 이 시는 시편에 나오는 ‘성전으로 올라가는 노래’ 중 하나로, 이스라엘의 성스러운 축제를 위해 순례자들이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부르던 노래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런 까닭에, 이 노래는 회복의 시간을 기억하면서도 좋은…

Read More

신명기 26장 1-11

이 구절은 서정적이면서도 가슴 아픈 구절입니다. 이 구절이 하나님의 창조 세계 안에서 우리의 삶에 관한 매우 핵심적인 영적 진리를 얼마나 쉽게 전달해 주는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모든 이유에서 서정적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실제로 약속의 땅으로 이주한 후에도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았다는 것을 느끼기 때문에 가슴이 아픕니다. 신명기 전체에서 우리는 모세가 “조심하라, 조심하라, 조심하라! 기억하고 잊지 마라!…

Read More

창세기 45:3-11, 15 

서구 교회에서 부활주일은 이르면 3월 셋째 주에, 늦으면 4월 마지막 주에 옵니다. 올해는 4월 17일이 부활주일인데, 이처럼 날짜가 늦어지면 주현절 이후 절기가 더 길어지고, 주현절이 2022년에 맞이하는 8번의 주일보다 훨씬 짧을 경우 우리가 자주 보지 못하는 RCL 본문을 접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창세기 45장에 나오는 이 문학적 보석을 자주 접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이…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