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related to 구약성경

Home » 구약성경 » Page 2

욥기 1:1, 2:1-10

주해, 관찰, 질문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욥기서는 신론이라는 오래된 질문에 대한 하나의 긴 논중입니다: 왜 선하신 하나님이 선한 사람에게 나쁜 일이 일어나도록 내버려 두시는 것일까? 이 질문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대화는 이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마침내 하나님이 답을 주기보다는 질문자들을 당혹스럽게 하여 경이로움, 신비, 경외감으로 대화를 끝맺게 합니다. 충분히 흥미롭습니다(비록 장들이 싸이면서 대화가 약간 지루해지더라도)….

Read More

시편 19:7-14

시편 19편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보이는 것은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Lectionary가 그렇게 한 것이 옳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시편기자는 하나의 시편을 적은 것입니다. 우리에게 첫 여섯절은 창조주에 대한 창조물의 증거에 대한 찬미이고마지막 여덟절은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찬양을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시편은 정말 하나의 통일체입니다.  우리가 우주에서 볼 수 있는 질서정연함과 우주를…

Read More

시편 54편

TV 프로그램과 영화에서, 종종 코미디 장면의 일부로, 때로는 진지한 맥락에서 누군가가 기억을 회상하거나 과거의 일을 이야기할 준비를 하고 있음을 알리는 음악 및 시각 효과를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아주 우스꽝스러운 영화 ‘비행기’의 클립의 첫 번째 부분에서 볼 수 있듯이, 승무원 역을 맡은 여성이 누군가와 대화하는 전 남자친구의 모습을 보고 처음 만났던 때를 회상하는 장면을 볼…

Read More

시편 34:15-23

시편 34편의 세 번째 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교회력 성구집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 비교적 짧은 시편에 세 주일을 연속으로 할애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히브리어 원문에서는 이 시편이 합창시이기 때문에 암송하고 하나의 통일체로 보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교회력 성구집을 통해서도 처음 8절, 중간 6절, 그리고 이제 마지막 9절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이 시편의 마지막 부분은 첫…

Read More

열왕기상 2:10-12, 3:3-14

제 아내는 제가 영화 ‘대부’에 대해 너무 많이 생각한다고 말합니다. 최근 이 설교 해설에 주의를 기울이셨다면, Francis Ford Coppola가 1974년에 만든 이 획기적인 영화를 제가 몇 주 만에 두 번 언급한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사실상 지난 주 사무엘하 18장 강해보다 열왕기상 초반의 일부가 이 영화를 더 많이 연상시키고 있는데도 말입니다. 단지 렉셔너리의 일부로서만 아닙니다. 열왕기상…

Read More

시편 78:23-29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고 가정해 보세요: 그래서 그날 저녁 네 자녀의 아버지는 아이들의 배고픔과 맛있는 것을 먹고 싶다는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버거킹에 가기로 결심했습니다.  아버지가 집에 돌아왔을 때 밀크쉐이크, 바삭한 감자튀김, 햄버거, 치킨 너겟 등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모두 가지고 왔습니다.    패스트푸드의 향연!  아이들은 기뻐하며 행복하게 음식을 먹었습니다. 아버지는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공급하였고, 남은…

Read More

시편 123

이 짧은 시편 전체가 더 큰 시편 안에 포함되어 있다면, 적어도 2절은 Lectionary가 지나쳐 가길 기대할 수 있는 종류의 구절입니다.  제가 다른 설교 주석에서 자주 언급했듯이, Lectionary는 원수나 다른 불쾌한 사람들에 대한 심판의 말씀이나 선동적인말을 건너뛰는 것을 좋아합니다.  시편 123편에는 그런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2절의 노예 이미지는 나름대로 불편한 느낌을 줍니다.  현대 사회에서…

Read More

시편 30

시편 30편은 하나님을 끊임없이 높인다는 점에서 거의 특이할 정도로 낙관적입니다.  그러나 안목 있는 독자나 설교자는 이 모든 찬양의 밑바탕에 고통의 역사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릴 것입니다. 시편 기자가 깊은 곳으로 내려가 구덩이에 가라 앉았다는 언급, 시편 기자의 몰락을 비웃으려는 원수들에 대한 언급, 심지어 무덤에서 구출되었다는 언급까지 등장합니다. 이 시편 기자는 분명 주변에 존재했던 인물입니다. 그는 한…

Read More

사무엘상 17:(1a, 4-11, 19-23), 32-49

이스라엘의 군주제의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그 역사를 통해 우리 삶에서 인간 리더십과 신적 주권 사이의 관계를 돌아볼 때, 우리는 이 유명한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에 이르게 됩니다. 이 이야기는 이스라엘 안에서 다윗이 권력을 잡게 되는 두 번째 장입니다. 사무엘상 16장에서 만난 소년 목동이 어떻게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강력한 왕이 되었을까요? 여기에 그 성공담의 한 가지 핵심…

Read More

시편 92:1-4,12-15

시편 92편의 5-11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시편92편의 이 강해는 특정 부분을 분명 건너뛰는 RCL 본문들 중의 하나인데, 호기심 많은 성경 학습자는 왜 건너뛴 것인지 궁금해할 것입니다. 시편92편은 단번에 읽거나 설교하기에 그리 길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이 시편의 강해는 거의 절반을 삭제하고 있습니다. 얼핏 보더라도 그 이유를 알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되는 동일한 이유입니다. 악인을 다루는 본문을…

Read More